2025. 1. 26. 20:49ㆍ카테고리 없음
와인을 공부하면 공부할 수록 세계지리를 공부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 지리적 위치를 알면 기후를 파악할 수 있고, 기후를 파악하면 와인을 파악할 수 있다. 공부에는 재능 없던 내가 학창시절 유일하게 흥미를 갖고 가장 잘 하기도 했던 과목도 지리었다. 성인이 되고, 시간이 한참 흐른 후에야, 와인으로 하여금 다시 지리를 공부하게 된다. 이런 소박한 인연이 내 삶에 등장하는게 참 신기하고 재미있다.
대륙성 기후: 일교차, 연교차가 크다
해양성 기후: 일교차, 연교차가 작다
지중해 기후: 일교차, 연교차가 작다
기본으로 알아두면 좋은 개념
부르고뉴 샤도네이 하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샤블리' 지역을 먼저 알아보자.

부르고뉴 와인산지
샤블리(Chablis) 는 부르고뉴의 북부에 위치한다. 부르고뉴는 온화한 대륙성 기후이지만, 샤블리는 부르고뉴 최북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서늘한 기후를 나타낸다. 그리하여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나는 샤도네이를 키운다.

샤블리는 서늘하고 이슬이 자주 내리는 지역이라 포도가 천천히 익으며, 이로 인해 포도의 산도는 높고, 향기와 맛이 더 정교하게 발달한다. 샤블리 샤르도네 특징으로는 높은 산도, 가볍과 상큼한 드라이 화이트, 청사과, 레몬, 라임 풍미, 미네랄 향, 오크 숙성 거의 없음이 있다.
샤블리 와인은 오크 숙성을 거의 시키지 않는다. 왜일까? 오크통에서 숙성 시킬 경우 오크의 향이 샤르도네 본연의 풍미를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샤르도네 품종이 가진 본연의 신선하고 깨끗한 과일 향을 살리기 위해서 일부러 오크 숙성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부 고급 샤블리 와인, 특히 프르미에 크뤼(1er Cru) 및 그랑 크뤼(Grand Cru) 등급 와인은 오크 숙성을 거치기도 한다.
* 일반적으로 샤블리는 스테인리스 스틸 발효탱크에서 발효 시킨다.
* 샤블리는 100% 샤도네이로만 화이트 와인을 만든다.
대체적으로 서늘한 기후라 풋사과, 하얀 복숭아 향이 많이 나타나며, 미네랄향 (부싯돌 향) 이 특징이다.
샤블리를 떠나, 부르고뉴 최고의 샤르도네 생산지로는 어디가 있을까?
뫼르소 (Meursault)
가장 강렬하고, 바디가 강하고 오크향이 강한 최고의 샤르도네 생산지 중 하나다.
퓔리니 몽라쉐 (Puligny-Montrachet)
매우 우아하고 섬세한 와인을 생산하는 곳으로, 미네랄리티와 산도, 복합성을 가볍고 섬세하게 표현한다.
샤샤뉴 몽라쉐 (Chassagne-Montrachet)
뫼르소와 퓔리니 몽라쉐의 중간 정도 스타일로 다소 강렬하고 풀바디 스타일이다.
몽라쉐 (Montrachet)
퓔리니 몽라쉐와 샤샤뉴 몽라쉐 두 지역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품질이 최고로 꼽힌다. (가장 비싸다)
부르고뉴 와인 생산지역 파고들기
1. 꼬뜨 드 본 (Côte de Beaune) - 화이트가 유명
꼬뜨 드 본은 부르고뉴의 남부에 위치한 와인 생산 지역으로, 주로 화이트 품종, 그중에서도 샤르도네가가 주로 재배된다. 앞서 이야기한 뫼르소, 퓔리니 몽라쉐, 샤샤뉴 몽라쉐가 포함된 지역이다. 일부 레드 품종으로는 피노 누아(Pinot Noir)를 재배한다.
2. 꼬드 드 뉘 (Côte de Nuits) - 레드가 유명
꼬드 드 뉘는 부르고뉴의 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주로 레드 와인 품종, 그중에서도 피노누아를 생산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앞서 소개한 샤블리가 포함된 지역이다.
3. 마콩 (Mâcon)
마콩은 부르고뉴의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주로 화이트 품종, 그중에서도 샤르도네를 주로 생산하며, 그 외에도 피노 누아(Pinot Noir)와 가메(Gamay) 품종으로 레드 와인과 로제도 생산된다.
4. 푸이퓌세 (Pouilly-Fuissé)
푸이퓌세는 마콩 지역에 속하는 특정한 AOC 등급을 가진 지역으로, 가장 명성 높은 화이트 와인 생산지 중 하나이다. 역시 샤르도네 품종으로 유명하며, 그 품질과 풍미는 부르고뉴 와인 중에서도 손꼽히는 고급스러움을 자랑한다. (마꽁보다도 더 좋다.)
부르고뉴는 아니지만 프랑스 유명한 와인 생산지역
1. 랑그독(Languedoc)
랑그독은 프랑스 남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프로방스와 피레네 산맥 사이에 넓게 펼쳐져 있다. (저가 대량 생산이 많은 지역이다) 랑그독은 주로 레드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지만, 화이트 와인과 로제 와인도 많이 생산된다. 프랑스에서 가장 큰 와인 생산지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와인 품질 향상과 트렌디한 와인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2. 루씨옹(Roussillon)
루씨옹은 스페인과 접한 지역으로, 랑그독의 남쪽 끝에 위치한다.남부 지역답게 기후가 매우 따뜻하고 건조하여, 강렬하고 고유한 스타일의 와인들이 많이 생산된다. 때문에 루씨옹은 특히 강한 풍미와 높은 알코올 도수의 와인으로 유명하며, 포도 품종과 전통적인 양조 방법이 잘 어우러진 와인을 만든다.
호주의 주요 샤르도네 산지
1. 야라 밸리(Yarra Valley)
호주 동남부에 위치하여 한류의 영향을 받아 서늘한 기후대이다. 서늘한 기후 덕분에 산도가 높고 샤르도네의 우아하고 섬세한 스타일을 잘 표현한다.
2. 마고(Margaret River) 혹은 마가렛 리버
마고는 호주 서남부 지역에 위치하는 와인산지로, 호주에서 3% 정도의 와인을 생산하는 프리미엄 샤르도네 생산지이다. 해양과 맞닿아 있는 마고는 보르도와 비슷한 온화한 해양성 기후를 띄는 것이 특징이다. 서늘한 지역이기 때문에 산도가 높다.
3. 애들레이드 힐즈(Adelaide Hills)
애들레이드 힐즈는 남부 중앙에 위치한 서늘한 기후의 와인 생산 지역으로, 고도 400m가 넘는 고산지대이기 때문에 특히 산도가 잘 유지되며, 샤르도네가 상큼하고 균형 잡힌 와인을 만들어낸다.
호주의 샤르도네는 강한 과일향 (복숭아, 멜론, 바나나) 과 오크 숙성을 통한 부드러운 질감이 특징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샤르도네 산지

캘리포니아 나파밸리는 해양과 인접해 있는 지역이지만, 일부 지역은 산맥이 한류를 막아주고 있어 온화한 기후가 나타나기도 한다. 나파밸리의 중간에 산맥이 위치해 있다면, 산맥의 왼쪽으로는 한류의 영향을 받는 소노마 지역이, 오른쪽으로는 한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센트럴 밸리가 위치한다.
1. 소노마 카운티(Sonoma County)
소노마는 한류의 영향을 받아 서늘한 지역이다. 때문에 샤르도네와 피노누아가 잘 자란다.
2. 카르네로스 (Carneros)
카르네로스 또한 한류의 영향을 받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로, 미국 치고는 우아한 와인이 생산된다.
3. 센트럴 밸리 (Central Valley)
산맥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한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우리가 흔히 나파밸리 하면 떠올리는 덥고 건조한 기후이다. 넓은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대량 생산에 적합하여, 합리적인 가격의 저가 가성비 와인이 많이 생산된다. 대다수의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량이 이 지역에서 이루어진다.
4. 산타 바바라 (Santa barbara)
해안가의 서늘한 영향을 받아 서늘~온화한 기후이다.
칠레의 샤르도네 산지
1. 카사 블랑카
서늘한 바다의 영향을 받아 샤르도네, 쇼비뇽블랑, 피노누아를 모두 생산하는 지역이다.
2. 센트럴 밸리
넓은 대륙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가 대량 생산을 하는 지역이다. 대부분 저렴한 와인을 만든다.
남아공의 샤르도네 산지
1. 워커베이
서늘한 바닷가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스타일의 샤르도네를 생산한다.
뉴질랜드
1. 혹스베이
뉴질랜드 두 개의 섬 중 북섬에 해당하여 조금 더 온화한 지역으로, 비교적 더 무거운 느낌이다.
2. 말버러
뉴질랜드 두 개의 섬 중 남섬에 해당하여 서늘~ 온화한 지역으로, 비교적 가벼운 느낌과 은은한 오크향이 특징이다.